조사 배경 및 목적
중소벤처기업부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은 「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」에 따라 2024년 10월부터 2025년 1월까지 공장 보유 중소·중견 제조기업 163,273개 사를 대상으로 스마트 제조 혁신 실태조사를 실시했습니다.
본 조사는 법률 시행 후 처음 실시되는 조사로,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대상을 명확히 하고자 했습니다.
조사 대상은 '23년 기준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는 63,182개 사 중 공장 보유 중소·중견 제조기업으로 설정되었으며, 조사 방법은 조사원의 대면 조사였습니다.
스마트 제조 혁신, 그 첫걸음을 내딛는 순간입니다. 이 조사가 앞으로 우리 제조업의 미래를 어떻게 그려나갈지 함께 지켜봐 주십시오.
스마트공장 도입 현황 및 인식
이번 조사에 따르면, 공장 보유 중소·중견 제조기업 163,273개 사 중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은 19.5%이며, 중소기업의 도입률은 18.6%로 나타났습니다. 기업 규모별 도입률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중견기업: 85.7%
- 중기업: 54.2%
- 소기업: 28.5%
- 소상공인: 8.7%
기업 규모가 클수록 스마트공장 도입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습니다.
스마트 제조 혁신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편으로, 전체 기업의 26.5%가 중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. 스마트 제조 혁신을 추진하는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생산 효율성 향상: 56.5%
- 품질 관리 개선: 37.1%
- 비용 절감: 2.7%
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 중 75.5%가 기초 수준이며, 기업 규모가 클수록 스마트공장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스마트공장 도입 범위는 부분 도입이 9.8%를 차지합니다.
스마트공장 도입 평균 비용은 1억 3천만 원이며, 중소기업의 경우 7억 5천만 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.
주요 도입 기술은 ERP(76.3%), 제어 컨트롤러(16.9%), MES(14.4%) 순입니다.
스마트공장 도입,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가는 시대입니다. 귀사의 혁신은 어디쯤 와있나요?
스마트공장 활용 및 데이터 현황
스마트공장 활용률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. H/W 활용률은 90.5%, 제조 데이터 활용률은 89.7%, S/W 활용률은 83.1%로 나타났습니다. 주요 활용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생산관리 (42.2%)
- 사업 기획·전략 수립 (26.3%)
- 재무관리 (10.7%)
- 기술 혁신 관리 (9.2%)
- 인적 자원 관리 (4.4%)
스마트공장 활용 수준을 더욱 높여야 한다는 응답은 45.7%였으며, 고도화를 위한 자체 투자 계획을 가진 기업은 25.6%로 조사되었습니다.
제조 데이터 및 인공지능(AI) 현황
제조 데이터 수집 기업은 전체의 60.8%이며, 이 중 52.1%가 실제 분석을 수행하고 있습니다.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의 경우, 92.4%가 제조 데이터를 수집하고, 74.0%가 분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제조 AI 도입 기업은 전체의 0.1%에 불과하며, 도입 계획이 있는 기업은 1.6%입니다.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 중에서는 5.2%가 제조 AI를 도입했거나 도입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.
제조 데이터·AI 관련 전담 부서 및 인력을 보유한 기업은 0.8%로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.
인력 현황
기업 내 평균 종사자는 14.7명이며, 이 중 생산직이 60.6%를 차지합니다. 스마트공장 관련 종사자는 전체 종사자의 36.7%인 5.4명으로 조사되었습니다.
스마트공장 관련 전담 부서 또는 인력을 보유한 기업은 19.5%이며, 관련 교육 예산을 별도로 마련한 기업은 6.6%입니다.
스마트공장 관련 추가 인력 확충 계획이 있는 기업은 14.5%이며, 인력 확충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비용 부담(47.1%)으로 나타났습니다.
데이터는 미래의 원유, AI는 세상을 바꿀 엔진이라고 합니다. 우리 기업들은 이 변화에 얼마나 준비되어 있을까요?
결론 및 정책 방향
이번 실태조사를 통해, 중소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, 스마트공장 도입률은 19.5%, 기초 수준의 스마트공장이 75.5%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중소벤처기업부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, 앞으로도 스마트공장 보급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, 제조 디지털 전환(DX) 및 인공지능 전환(AX)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.
스마트 제조 혁신, 이제 대한민국 제조업의 새로운 도약이 시작됩니다. 이 여정에 여러분도 함께해 주십시오.
자주 묻는 질문 (FAQ)
스마트공장 도입 관련
Q: 스마트공장 도입 비용은 어느 정도인가요?
A: 스마트공장 도입 평균 비용은 1억 3천만 원이며, 중소기업은 평균 7억 5천만 원입니다.
Q: 스마트공장 도입 시 주로 어떤 기술을 도입하나요?
A: 주요 도입 기술은 ERP(76.3%), 제어 컨트롤러(16.9%), MES(14.4%) 순입니다.
데이터 및 인력 관련
Q: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의 제조 데이터 분석률은 얼마나 되나요?
A: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의 92.4%가 제조 데이터를 수집하고, 이 중 74.0%가 분석합니다.
Q: 스마트공장 관련 인력 확보의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인가요?
A: 인력 확충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비용 부담(47.1%)입니다.